|
박선희(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아셈의 회원국 확장>
아셈 창립 멤버 (1996) | 1차 확장회원 (2004) | 2차 확장회원 (2006) | 3차 확장회원 (2010) | 4차 확장회원(2012) | |
아시아 측 (아시아 참가국 수의 합) |
ASEAN+3 (한국, 일본, 중국) (10)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13) |
ASEAN 사무국, 인도, 몽골, 파키스탄 (17) |
호주, 뉴질랜드, 러시아 (20) |
방글라데시 (21) |
유럽측 (유럽 참가국 수의 합) |
EU회원국, EU집행위원회 (16) |
10개 신규EU 회원국 (26) |
불가리아, 루마니아 (28) |
없음 (28) |
노르웨이, 스위스(30) |
확장 동인 | ASEAN EU회원국 확장으로 인한 동인 |
EU회원국 확장으로 인한 동인 |
? |
방글라데시, 노르웨이 그리고 스위스를 받아들인 제 4차 확장은 유럽측이 EU구성원만으로 유럽측의 참여국을 제한해 왔다는 점에서 의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EU는 전격적으로 올해 3월에 노르웨이와 스위스의 가입을 찬성한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이에 대해 외교통상부 중유럽과 한 관계자는 “유럽재정위기 등으로 인해 입지가 좁아지고 세력이 약해진 EU내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렇게 결정된 것 같다”는 의견을 본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피력했다.
그렇다면 최근 일련의 아셈 회원국 확장을 어떻게 봐야 할까? 아셈의 특성인 지역 대 지역 접근 방식이 여전히 유효한 것일까? 아셈은 여전히 운영방식에 있어 아시아 vs 유럽의 만남임을 강조하는 듯이 보인다. 아시아를 구성하는 축이 ASEAN+3(한국, 중국, 일본)에서 ASEAN+3+3(몽골, 인도, 파키스탄) 이후에는 ASEAN+3+3의 조합을 포기하고 ASEAN+NESA를 고안하기에 이른 것은 지역 대 지역 운영방식이야말로 아셈의 중요 원칙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또한 아셈의 회원중에 ASEAN 사무국과 EU 집행위원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대 지역 운영방식은 여전히 유효한 아셈의 modus operandi 로 보인다. 우리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방글라데시, 몽골, 파키스탄, 인도 등과 같이 이질적인 국가로 구성된 새로이 고안된 지역, NESA가 ASEAN과 함께 아셈의 아시아 참여구성원으로서 어떻게 조화를 이룰 지와 다양한 나라의 편입이 아셈 정상회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지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